본문 바로가기
효능과 건강

쥐치 부작용|유래|칼로리|쥐치 영양성분|GI지수|쥐포 당뇨|권장량

by 건강수석코치 2025. 9. 4.
반응형

쥐치 부작용|유래|칼로리|쥐치 영양성분|GI지수|쥐포 당뇨|권장량


쥐치는 바닷물고기 중 하나로, 몸이 납작하고 길쭉하며 입이 작고 뾰족해 특이한 외형을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껍질이 질겨서 손질할 때 껍질을 벗겨내는 과정이 필요하며, 이러한 특징 때문에 “쥐를 닮았다” 하여 쥐치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서해와 남해 연안에서 흔히 잡히며, 담백하고 쫄깃한 살결 덕분에 회, 조림, 구이, 건어물 등 다양한 요리에 활용됩니다. 겨울철이 제철로 꼽히는데, 살이 단단하고 맛이 고소하여 많은 사람들이 찾는 인기 어종입니다. 또한 쥐치는 단백질과 미네랄이 풍부해 영양학적으로도 가치가 높으며, 가공된 쥐치포는 술안주와 간식으로 널리 소비됩니다. 오랜 세월 우리 밥상과 함께해 온 친숙하면서도 건강한 바다의 선물입니다. 지난 시간에는 쥐치 효능 / 종류 / 쥐치 금어기 / 수확시기 / 쥐치 제철 / 쥐치조림 맛있게 만드는 방법 / 쥐치 먹는 방법 / 쥐치 보관 방법에 대해서 알아 봤는데요. 오늘 이 시간에는 쥐치 부작용 / 이름 유래 / 쥐치 칼로리 / 영양소 / 쥐치 당뇨 / GI지수 / 하루 권장섭취량 / 쥐치 적정량에 대해서 이야기 나누어 보겠습니다.


쥐치 부작용 • 주의할점

쥐치는 대체로 안전한 식품이지만 몇 가지 유의해야 할 부분이 있습니다.

① 소화기 질환자 주의

쥐치 살은 단단하고 쫄깃해 소화력이 약한 사람은 과다 섭취 시 체하거나 더부룩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② 알레르기 가능성

어류 알레르기가 있는 경우 피부 발진, 가려움, 호흡 곤란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처음 먹는 경우 소량만 섭취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③ 간 섭취 시 주의

쥐치 간에는 타우린이 풍부하나, 신장 질환자나 특정 약물을 복용 중인 사람은 무리한 섭취가 해로울 수 있습니다.

④ 건조 가공품(쥐치포)

보존을 위해 소금과 조미료가 많이 첨가된 경우 나트륨 과다 섭취로 이어질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⑤ 임산부 및 어린이

신선하지 않은 쥐치는 식중독 위험이 있으므로 반드시 신선도를 확인하고 조리해 먹어야 합니다.


쥐치 이름뜻 • 유래

쥐치라는 이름은 ‘쥐를 닮았다’는 데서 비롯되었습니다.

 

작은 입과 뾰족한 주둥이, 납작한 몸 모양이 쥐의 얼굴을 연상시킨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입니다. 한자로는 ‘鼠魚(서어)’ 또는 ‘鼠鯒(서롱)’이라고 불리며, 역시 쥐의 형상에서 유래된 명칭입니다. 영어권에서는 Filefish 또는 Leatherjacket으로 불리는데, 이는 껍질이 두껍고 질겨 가죽처럼 벗겨진다는 특징에서 기인합니다. 우리 조상들은 오래전부터 쥐치를 잡아 술안주로 먹거나 포로 가공해 겨울철 간식으로 즐겼으며, ‘쥐치포’는 지금도 전통 시장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서민 먹거리입니다.


쥐치 칼로리 (100g 당)

쥐치는 비교적 저칼로리 어종으로, 100g당 약 90~100kcal 정도입니다.

 

이는 일반적인 육류보다 낮은 수치이며, 고단백·저지방 식품으로 분류됩니다. 쥐치포와 같이 가공된 형태는 양념이나 설탕, 조미료가 더해져 칼로리가 높아질 수 있으니 다이어트나 건강을 위해서는 생선 자체를 구이·조림으로 섭취하는 편이 바람직합니다.


쥐치 영양성분 (100g 당)

• 단백질

약 18~20g (근육 형성과 회복에 도움)

• 지방

1~2g (저지방 어종, 불포화지방산 포함)

• 탄수화물

거의 없음

• 비타민

비타민 B군(피로 회복, 대사 촉진), 비타민 D(뼈 건강)

• 무기질

칼슘, 인, 칼륨, 마그네슘, 철분 함유

 

쥐치 간에는 타우린이 풍부하여 간 기능 개선에 효과적 쥐치는 고단백, 저지방의 전형적인 건강식 어종이며, 특히 단백질의 질이 좋아 성장기 어린이나 회복기 환자에게 유익합니다.


쥐치 당뇨 • 혈당지수(GI)

쥐치는 탄수화물이 거의 없는 어류이므로 혈당지수(GI)가 매우 낮습니다.

 

사실상 혈당 상승과 직접적인 연관은 거의 없는 식품으로, 당뇨 환자도 비교적 안전하게 섭취할 수 있습니다. 다만 가공식품인 쥐치포나 양념조림은 설탕, 간장, 고추장 등 당분과 나트륨이 많이 포함되므로 당뇨 환자는 주의해야 합니다. 특히 쥐치포는 간식으로 과다 섭취할 경우 혈당뿐 아니라 혈압에도 부담이 될 수 있으므로 조절이 필요합니다.


쥐치 하루 적정 섭취량 • 권장량

쥐치는 영양가가 뛰어나지만, 균형 잡힌 식단을 위해 섭취량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① 성인

1회 섭취 시 100~150g 정도, 일주일에 2~3회가 적당합니다.

② 어린이

성장 발달을 위해 소량(70~100g)을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③ 노인

소화가 약하므로 80~100g 정도가 적절합니다.

④ 당뇨·고혈압 환자

가공품보다 생선을 구이나 찜으로 섭취하고, 양념은 줄이는 것이 권장됩니다.

⑤ 주의사항

지나치게 자주 먹는 것보다는 다양한 어종과 교차 섭취하여 영양 균형을 맞추는 것이 이상적입니다.


쥐치는 독특한 외형 덕분에 이름부터 흥미로운 바닷생선이지만, 맛과 영양 면에서도 결코 빼놓을 수 없는 귀한 식재료입니다. 겨울철 제철 쥐치는 담백하고 쫄깃한 식감으로 많은 사람들의 입맛을 사로잡으며, 회, 조림, 구이, 포 등 다양한 요리로 활용됩니다. 단백질이 풍부하고 지방이 적으며, 타우린과 미네랄이 함유되어 있어 피로 회복과 간 건강, 성장 발육에 두루 도움을 줍니다. 물론 과다 섭취 시 소화기 부담이나 알레르기 가능성이 있으므로 적정량을 지켜 즐기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우리 식탁에서 오래 사랑받아온 쥐치는 단순한 음식 그 이상의 의미를 지니며, 전통과 건강을 이어주는 소중한 바다의 선물이라 할 수 있습니다. 앞으로도 올바른 조리와 균형 잡힌 섭취를 통해 쥐치의 진가를 더욱 널리 즐길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2025.09.03 - [효능과 건강] - 쥐치 효능|종류|금어기|쥐치 제철|쥐치조림 레시피|요리법|보관법

 

쥐치 효능|종류|금어기|쥐치 제철|쥐치조림 레시피|요리법|보관법

쥐치 효능|종류|금어기|쥐치 제철|쥐치조림 레시피|요리법|보관법쥐치는 바닷속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어종 중 하나로, 몸 모양이 쥐를 닮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을 가진 생선입니다.

homeostasises.com

2025.08.26 - [효능과 건강] - 전어 부작용|이름뜻|전어구이|칼로리|영양성분|GI|당뇨|적정량

 

전어 부작용|이름뜻|전어구이|칼로리|영양성분|GI|당뇨|적정량

전어 부작용|이름뜻|전어구이|칼로리|영양성분|GI|당뇨|적정량전어는 가을철에 특히 맛이 좋은 대표적인 계절 생선으로, ‘가을 전어 대가리엔 집 나간 며느리도 돌아온다’라는 속담

homeostasises.com

2025.08.23 - [효능과 건강] - 서대 부작용|유래|칼로리|서대회 영양성분|혈당지수|당뇨|권장량

 

서대 부작용|유래|칼로리|서대회 영양성분|혈당지수|당뇨|권장량

서대 부작용|유래|칼로리|서대회 영양성분|혈당지수|당뇨|권장량서대는 가자미목 가자미과에 속하는 바닷물고기로, 납작하고 좌우로 퍼진 몸을 가진 것이 특징입니다. 우리나라 서해

homeostasises.com

반응형